1. 어린이 교재·교구의 개념
-어린이 교재교구 용어의 의미
*교수매체: 교수-학습과정에 있어서 교사와 학습자 간에 서로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수업의 실제에서 그 수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자에게 일정한 정보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수매체는 인쇄매체, 실물, 표본, 영화, TV, 게시판, 놀잇감, 교사계획에 의한 활동자료, 실내외 교육환경자료 등 광범위하다.
*교재: 교육하는 데 쓰이는 재료, 즉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학습활동자료를 의미한다.
*교구: 도서, 괘도, 표본 등 교수-학습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도구나 물품을 의미한다.
*교재·교구: 교수-학습장면에서 교수와 학습을 성공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 쓰이는 교사용 교육자료와 유아의 학습자료를 포함한다.
*비품: 교수-학습 활동에 보조적이고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고정적인 물건을 의미한다.
*놀잇감: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여러 가지 물건을 의미한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영유아들이 등원하는 시간에서부터 집에 돌아가는 시간까지의 활동에서 사용되는 모든 자료가 교재·교구 또는 교수매체가 될 수 있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재·교구란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자료로서 교사의 대·소집단 활동뿐아니라 자유선택활동시간의 개별활동, 실외활동 등에서 사용되고 필요로 하는 모든 활동자료 및 환경을 의미한다.
2. 교재·교구의 중요성
-피아제: 영유아들에게 놀이는 이세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매개체의 구실을 할 뿐만아니라 인지발달의 지표 또는 부산물이라고 강조하였다.
-비고스키: 영유아기에는 놀이를 통해 구체적사물을 조작해보고 성인과 또래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자료와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영유아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도록 돕는 매개체역할을 하는 것이 놀잇감 또는 교재·교구다.
-발달 특성상 영유아기는 구체적인 사물을 조작하고 오감각을 통해 지식을 형성해가는 시기
-교재·교구가 중요한 구체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재·교구는 영유아의 전인발달을 돕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유아의 교육 교수·학습방법의 기본은 통합적접근이므로 대부분의 교재·교구는 한가지 목적만을 위해 제작·준비되지 않는다.
둘째, 교재·교구는 교육활동의 내용과 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재·교구는 교사와유아, 유아와유아, 유아와 교재·교구 간에 효과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도와줌으로써 보다 풍부하고 의미있는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셋째, 교재·교구는 영유아가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끌어준다. 영유아들이 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참여·반복하며 활동하고 조작해 자발적인 개별학습이 일어나게 한다.
넷째, 교재·교구는 영유아의 활동을 심화, 확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유아들은 교재·교구를 통해 활동방법,내용에 대해 이해하게 될 뿐만아니라 흥미가 확장되어 의미있는 지식을 형성하게 된다.
3. 발달에 따른 영아교재·교구
**영아를 위한 바람직한 교육과정은 영아의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교육활동을 선정하고, 영아주도적인 탐색과 놀이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영아는 놀이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세상에 대한 지식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영아를 위한 교재·교구는 영아의 발달특성에 기초하여 계획하고 제작하여야한다.
*5개 활동영역: 언어활동, 감각 및 탐색활동, 표현활동, 대근육활동, 일상생활 활동
1)언어활동: 듣기,말하기,읽기,쓰기, 아늑하고 편안한 환경, 낮은탁자,카펫
2)감각 및 탐색활동: 주변사물과 자연현상 지각, 탐구하는 태도,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기른다, 감각과 소근육을 사용하여 직접 조작하고 탐색하여 인지능력을 발달, 보고,듣고,맛보고,냅새맡고,만져봄(오감)
3)표현활동: 창의성과 감성을 기른다
4)대근육활동: 영아기는 신체적발달과 운동지각능력이 급속하게 발달하는 시기이므로 대근육활동 중요
5)일상생활 활동
'어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7 유치원 교육과정 목표와 활동내용 (0) | 2022.05.07 |
---|---|
만 0세, 1세를 위한 영유아 실내영역 공간구성 (0) | 2022.05.07 |
유아교과교육론: 교수학습방법의 원리와 교육과정의 역사적 흐름 (0) | 2022.05.06 |
특수교육의 역사와 어린이 특수교육 문제행동 지도 방법 (0) | 2022.05.06 |
어린이 특수교육의 정의, 목적, 내용 (0) | 2022.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