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0세를 위한 실내영역 공간구성>
-기저귀 가는 영역, 수유영역, 잠자는 영역, 놀잇감영역, 그림책영역, 거울영역, 대근육운동영역, 인형놀이영역
- 기저귀 가는 영역
-조용하고 잠자는 영역과 가까이, 수유영역과는 떨어져서 배치하고 기저귀를 가는 동안 영아가 볼 수 있는 모빌, 그림, 거울 등을 설치한다.
위생 및 청결에 유의하고 영아를 씻기거나 교사의 손을 닦을 수 있는 곳을 함께 설치하거나 가까이 둔다.
기저귀 갈이대를 사용할수도 있고 바닥에 기저귀가는 매트를 이용할 수 있다.
- 수유영역
-수유영역은 교사의 편안함을 통해 영아에게는 편안함과 아늑함이 전달되도록 꾸미고, 잠자는 영역과 인접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 잠자는 영역
-충분한 수면은 유아의 신체발달 및 이후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숙면을 취하도록 해야한다.
1세 미만의 학기초에는 대부분의 영아들이 2회정도 낮잠을 자다가 점차1회로 줄어들게 된다.
잠자는 영역은 위생적이면서도 편안한 분위기를 마련해야한다.
- 놀잇감 영역
-만 0세의 지각발달을 도울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 질감, 소리를 가진 놀잇감을 준비해준다. (딸랑이, 다양한 감촉)
- 그림책 영역
-0세에게 그림책은 책이라는 사물을 알게 하는 것이며 재미있는 놀잇감이므로 그림책은 다양한 재질과 모양을 선택하고 그림책영역에는 큰방석과 쿠션을 두어 편안한 분위기가 되도록 한다.
- 거울영역
-만0세는 자기자신을 인식하는 시기이므로 거울속의 자기 모습을 보는 것을 매우 흥미있어한다. 깨지지 않는 안전거울을 영아의 신체크기에 맞게 구성해준다.
- 대근육 운동 영역
-만0세는 기기, 걷기의 과업을 수행하는 시기로 영아들의 개별 발달을 고려한 대근육운동영역을 설치해주어야 하는데 단단하고 평평한공간, 경사와 몇 개의 계단이 있는 공간, 잡고 서기와 잡고걷기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준다.
- 인형놀이 영역
-0세영아는 인형을 매우 좋아하고 흥미있어하며 인형의 촉감을 통해 안정감을 갖게된다. 그러나 아직 무엇이든 입에 넣고 빨기 때문에 인형의 재질에 주의해야 하는데 헝겊인형이 적당하다.
<만1세를 위한 실내영역 공간구성>
-기저귀가는 영역과 화장실, 잠자는 영역, 그림책영역, 쌓기영역, 신체영역, 탐색영역, 소꿉영역
- 기저귀가는 영역과 화장실
-기저귀가는 영역이 여전히 필요하지만 빠르면 약 18개월이 되면서 배변훈련을 시작하므로 점차 기저귀를 가는 영아와 화장실을 이용하는 영아가 함께 생활하게 된다. 하반기가 되면 대부분의 영아들이 화장실을 사용하게되므로 영아의 신체크기에 적합한 화장실설치가 중요하다.
- 잠자는 영역
-만1세반은 학기초 적응기간이 지나면 점차 하루에 1회 일정한 시간에 잠을 자게 된다. 매트는 너무 푹신하거나 두껍지 않은 것이 좋으며 쉽게 접어 보관할수있어야 한다. 요는 자주 세탁할수있도록 벗기기쉬운 것으로 준비한다.
- 그림책 영역
-밝고 조용하며 아늑한 분위기로 구성하며 영아들의 흥미와 요구에 적합한 그림책을 준비한다. 소파,쿠션을 준비하고 이시기의 영아는 책을 본다기보다는 책으로 놀이를 하므로 튼튼하게 만들어진 것이 좋고 다양한 소재와 다양한 모양의 책을 제공한다.
- 쌓기영역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고 바닥에는 카펫을 깔아 소음과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안전하고 다양한 블록, 적목 외에 영아들의 흥미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소품들도 함께 제공한다.
- 신체영역
-신체적 기술을 연습하고 적극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안전한 모험이 이루어질수 있는 신체움직임 영역을 마련한다.
(작은 미끄럼틀, 평평하고 넓은 공간)
- 탐색영역
-영아들이 다양한 모양과 질감, 소리를 탐색할 수 있는 감각놀이감을 준비해주고 영아들에게 인기있는 놀잇감은 같은 것으로 두 개 제공하며 안전한 것으로 준비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한다.
- 소꿉영역
-다양한 색깔, 크기, 종류의 인형과 역할놀이를 할 수 있는 소품들을 준비해주어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상황을 흉내내보게 한다. 실물을 준비해주는 것이 좋으며 안전을 고려하여 준비한다.
'어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교육: 특수아동의 유형 (0) | 2022.05.07 |
---|---|
2007 유치원 교육과정 목표와 활동내용 (0) | 2022.05.07 |
어린이 교재·교구의 개념과 중요성 (0) | 2022.05.06 |
유아교과교육론: 교수학습방법의 원리와 교육과정의 역사적 흐름 (0) | 2022.05.06 |
특수교육의 역사와 어린이 특수교육 문제행동 지도 방법 (0) | 2022.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