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감 있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
아이들의 책임감은 기질적으로 타고 나는 것이 아닙니다.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하지요. 무엇보다 책임감 있는 아이로 자라길 원한다면 도와주지 말아야 합니다. 책임감의 또 다른 단어는 ‘자율성’입니다. 자유롭게 일을 처리하면서 동시에 책임감도 길러지는 것이지요. 어른들의 사회와 비슷합니다. 아이의 책임감을 키우기 위해서는 부모의 역할이 아주 중요합니다. 아이를 위해 부모는 어떠한 역할이 되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스로 결정하게 하라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다 부모가 도와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가 스스로 무언가를 할 틈을 주지 않는 것이지요. 스스로 결정할 것이 없는 아이는 무기력해지고, 결국 책임감이 무엇인지 느끼지 못하는 불행이 일어납니다. 스스로 결정하고 행동한 것에 대한 결과가 모두 자신에게 있다는 태도가 결국 책임감이라는 위대한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주 작고 사소한 것이라도 아이 스스로 결정해서 행동하게 하고, 그 결과도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것이 책임감 있는 아이로 키우는 첫 단계일 것입니다.
목표를 세우되, 과정에 의미를 두어라
목표를 성취했을 때 아이는 성공과 실패가 무엇인지 알게 됩니다. 하지만 책임감 있는 자율적인 아이는 결과보다는 과정에 더 큰 의미를 두기 때문에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혹 실패를 했더라도 툴툴 털고 일어나 다시 도전하게 되는 것이지요. 아이에게 목표는 중요합니다. 그 목표는 부모와 함께 할 수 있는 일, 그리고 혼자서 해야 하는 일에 대한 결정입니다. 목표가 있는 아이에게는 반드시 책임감도 따르게 됩니다. 결과에만 집중하지 않도록 조언하고 격려해 주어야 할 것입니다.
아이와 한 약속은 반드시 지켜요
아이와의 약속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아이와 부모와 함께하는 경험은 책임감 형성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지요. 부모가 아이와 한 약속을 하찮게 여기거나 잊어버린다면 아이는 실망하게 될테고, 아이 역시 약속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인식을 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약속을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어 약속을 통한 책임감을 기를 수 있게 합니다.
아이들과 함께 집안일을 하라
아이들과 함께 집안일을 하면서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성취감이 생기고 동시에 책임감을 들게 할 수 있습니다. 집안일의 아주 기본은 본인이 가지고 논 장난감들을 치우게 하는 것입니다. 사소한 것부터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도하면서 책임감을 기르게 하는 것입니다. 또한 아이가 할 수 있는 집안일 중 흥미를 보이는 부분은 계속 아이가 할 수 있도록 담당해주면, 집안일이 어렵거나 지루한 것이 아닌 재미있는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아이가 할 수 없거나 어려운 일을 하게 하여 흥미를 잃게 한다면 자신감도 떨어지고 동시에 집안일이 힘들다는 인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난이도를 조절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어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한 부모의 마음가짐 / 우리 아이 잘 키우는 꿀팁! (0) | 2023.05.12 |
---|---|
영유아 건강검진 안내문 (0) | 2022.05.31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아이로 키우는 7가지 방법] 아이의 감정에 상처를 내는 부모의 실수 (0) | 2022.05.30 |
[어린이 건강 지킴이] 환절기 무서운 질병 주의사항! (0) | 2022.05.29 |
자녀에게 책을 잘 읽어주는 방법. 그림책 읽는 법, 좋은 동화책 고르기 TIP (0) | 2022.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