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애착>
1. '애착'의 의미와 중요성
-주 양육자와의 피부접촉이 영아의 정서적 안정감 형성에 기여하여 바람직한 애착형성 가능하게 해줌
⑴애착의 정의 및 행동 특성
-애착은 단기간에 형성된다기보다는 최소한 몇 개월의 시간에 걸쳐 서서히 형성된다.
영아의 주 양육자와 충분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하고 영아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해 준다는 것을 영아가 확신할 수 있어야 한다. 애착은 영아가 정서적 안정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Ainsworth 분류
*안정애착: 어머니를 안전한 기지로 여기고 어머니가 잠시 떠났다가 돌아왔을 때 행복한 반응
*불안-저항애착: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어머니가 함께있어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화를 내고, 스트레스, 저항
*불안-회피애착: 안정애착 집단의 유아와 달리 주위를 탐색하지 않는다. 어머니 무시, 무관심, 접촉피함
⑵애착의 중요성
-애착은 인간 발달의 여러 양상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
-영아는 어머니와 상호작용을 통해 안정감, 신뢰감 형성
-영아기 때 안정된 애착을 형성한 유아는 그렇지 않은 유아보다 강한 유능감을 가지고 있었고 자아-지시적이었으며 환경을 탐색하는 데 더 많은 흥미를 보임. 또한 또래들과도 보다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함
-다양한 연구 결과로부터 보호의 일관성과 보호의 지속성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보호의 일관성:
영아가 오랜시간에 걸쳐 양육자와 상호작용하고 친숙해질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
일관성있는 보살핌을 받지 못하고 자란 영아는 다른 보호자와의 관계에서도 예측성과 반응성을 기대할 수 없게 되고 결국 애착 관계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보호의 지속성:
영아가 주된 양육자와 오랜 시간 동안 관계를 형성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
⑶안정 애착의 지원
①주 양육자의 민감성
-주 양육자가 영아의 태도, 요구, 기질 등에 민감하고 반응적으로 대처해 준다면 영아는 필요할 때는 언제든지 다가갈 수 있는 반응적인 존재로 양육자를 인식하여 안전한 애착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서툰 경우엔 불안-저항적인 애착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보호자가 영아를 좋아하지 않고 신체적 접촉을 하는데 무관심할 때 불안-회피적인 애착을 형성하게 된다.
②영아의 기직에 관한 바른 인식
③주 양육자의 사회적 지원망
-주 양육자는 자신의 사회문화적 상황과 여러 특성을 인식하여 각 상황에 적절히 대처함으로써 보살피고 있는 영아와의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영아의 가족들을 유아교육기관의 차원에서 지원해 줄 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④맞벌이 부부와 취업모의 자녀에 관한 이해
-영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는 보육경험의 질이라고 할 수 있다.
-질 높은 보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양육자와 강하고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하게 하는것이 중요
<어린이 자아개념>
⑴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의미
자기자신의 인성, 기질, 가치관, 행동, 능력 등에 관한 주관적 이해와 평가를 의미함
즉, 스스로를 정의하는 능력, 스스로를 구분된 전체로 인식하는 자아 인식, 그리고 태도, 동기, 가치 등 함께 어울려 스스로를 독특한 개인으로 구분짓는 능력을 의미
-자아개념은 점진적으로 발달하여 지속되고 연령이 증가하면서 변화. 영유아가 스스로를 거울이나 사진에서 찾아내어 지적할 수 있다는 것이 바로 자아감이 출현한다는 증거가 됨
*'자아존중감'의 의미
한 개인이 자신에 관하여 스스로 형성하고 습관적으로 지속시키고 있는 자신에 관한 평가를 말한다.
자아존중감은 스스로를 받아들이거나 받아들이지 않는 태도로 표현되기도 하고 개인이 스스로를 능력있고 소중하며 성공적이고 가치있다고 믿는 정도를 나타내기도 함. 즉, 자아존중감이란 스스로의 가치에 대한 한 개인의 판단을 의미
-성인의 전적인 수용, 분명하게 정의되고 강화된 한계, 명확히 정해진 한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영유아의 행동에 관한 존중을 자아존중감 형성을 위한 중요한요소로 꼽고있다.
⑵자아개념 교육의 내용
①가치감
- 타인으로부터 영유아기 때부터 받는 존경심과 수용, 대우의 양이 자아 존중감의 성취에 중요함. 인간적으로 얼마나 존중받으며 성장했는지의 여부가 영유아들이 스스로를 가치 있는 존재로 여기는 정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②능력감
-개인이 성취한 객관적인 지위와 사회적 위치를 포함한 성공과 실패의 역사가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
교사는 기회를 주는 동시에 획득한 기술을 숙달시킬수있는 충분한 시간도 제공해야함
'어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 정서와 친사회적 행동 (0) | 2022.05.05 |
---|---|
어린이 성 역할 교육 (0) | 2022.05.04 |
어린이 사회적 행동 발달과 사회성 발달의 요인 (0) | 2022.05.04 |
어린이 교육과정의 개념, 특성과 내용 (0) | 2022.05.03 |
자유놀이시간의 의의와 놀잇감 선택 방법 (0) | 2022.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