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린이

가족관계: 가족형태와 가족가치관의 변화, 결혼의 동기와 사랑의 색깔 유형론

by apple mint 2022. 5. 9.

<가족구조 형태와 가족가치관의 변화, 결혼의 동기와 사랑의 색깔 유형론>

 

1. 현대사회 가족구조 및 가족관계의 변화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가족의 형태 중 4가지 

①동거가족

동거가족은 결혼하지 않은 남성과 여성이 함께 사는 것을 말한다. 과거에도 경제적 이유나 부모의 반대로 결혼을 미룬

‘미혼동거’였지만, 최근에는 결혼의 대안으로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비혼동거’가 시도된다.

미혼동거가 여러 가지 이유로 결혼 자체를 유예한 것이기 때문에 ‘질적’ 부부관계는 결혼에 가까운데 비해 비혼동거는 평등한 관계에서 협약을 통해 가정의 규칙을 정하는 등 ‘전통적’ 부부관계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②홈대디 가족

아내가 밖에 나가 일하고 남편이 집에서 가사를 전담하는 부부가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매년 늘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엔 맞벌이 부부 중 가사를 맡는 것은 당연히 아내 몫이었으나, 요즘은 부부 중 소득이 적은 쪽이 일을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지고, 전문직, 고소득 여성이 많아졌으며, 연상연하 커플이 증가한 것 등을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③공동체 가족

공동체 가족은 자녀들과 성인들이 함께 사는 집합체적 가구이다. 현대사회에서 핵가족이 직면한 문제와 제한점을 서로 협동적으로 극복해 보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나타났으며, 종교 생활공동체, 노인생활 공동체, 또한 요즘은 직업과 취미에 따라서 혹은 ‘육아공동체'처럼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 가족이 생겼다.

 

④다문화 가족

세계는 이제 다문화사회가 되어 여러 나라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게 되었다. 우리가 문화, 사회, 가족에서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가족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넓혀주고 깊게 해주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2. 현대사회 가족구조 및 가족관계의 변화에서 가족가치관의 변화

①자녀에 대한 가치관:

한국인의 경우 결혼을 했거나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하고 있는 사람들은 대체로 자식의 성장을 지켜보는 것이 인생의 즐거움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젊은세대의 경우 이러한 자녀의 정서적 자원에 대한 가치관이 매우 약화되고 있다.

②가족·부부에 대한 가치관:

부부관계보다 부모-자녀관계를 더 중시하는 전통적인 의식에 대해서는 연령이 낮거나 높은 세대 모두 동의하는 비율이 과반수를 넘지 않았으며 특히 20대 젊은 세대는 낮은 동의율을 보였다.

③동거·이혼·출산에 대한 가치관:

혼전동거에 대한 인식은 젊은층이 나이든 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대한 태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부부갈등이 심각하고 해결하기 어렵다고 판단될 때 이혼으로 문제를 해소시키는 태도 역시 20대가 관대하였다.

④성역할에 대한 가치관:

전통적인 성역할에 대한 태도는 고연령층에는 전통적 성향과 태도가 강하나 저연령층에는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부정하는 경향이 있다.

 

 

3. 결혼의 동기 

①정서적 안정: 결혼생활을 통해 경제적 안정 뿐 아니라 인생의 동반자로서 서로를 이해해주고 지지해줌으로써 보다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갖게 된다.

②사랑의 실현: 사랑한다는 감정은 중요한 결혼의 동기로 작용

③성인으로서의 신분 획득: 결혼을 통해 독립된 신분을 인정받고 독립된 생활을 하게 된다.

④행복감과 만족감 추구

 

4. Lee(1988) 사랑의 색깔 유형론

-사랑의 색깔유형론은 사랑의 유형을 색깔로 비유하고 사랑의 방식에서 나타나는 개인차를 연구하여 낭만적 사랑, 동료적사랑, 유희적 사랑, 소유적 사랑, 논리적 사랑, 이타적 사랑으로 여섯 가지 유형으로 사랑을 구분한 것이다.

-낭만적 사랑:

첫눈에 반하는 낭만적 사랑이나 상대방의 신체적 매력에 강하게 이끌리는 열정적 사랑을 말한다.

-동료적 사랑: 오래된 친구사이의 우정이 시간이 흐르면서 서서히 사랑으로 무르익는 형태

-유희적 사랑: 사랑을 하나의 게임이나 심심풀이로 생각한다.

-소유적 사랑:

이들은 사랑한다는 것은 상대방을 완전히 소유하는 것이고 상대방에게 내가 소유당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논리적 사랑: 자신에게 어울리는 사회적 배경을 지니고 흥미, 관심사, 가치 등을 공유할 수 있는 상대를 만나기 위해 자신이 원하는 조건을 가장 많이 만족시키는 사람이 나타날 때까지 기다린다.

-이타적 사랑: 상대방을 아무 조건 없이 좋아하고 돌봐주며 용서하고 상대방의 행복과 성장을 위해 베풀어 주는 자기희생적 사랑이다.

 

 

반응형

댓글